▼ 자유학기 수업평가 기록은 이렇게?
자유학기를 보낼 때 가장 골머리를 앓는 것 두 가지는, 수업 디자인과 평가인 것 같습니다. 평가 내용은 문장으로 기록해야하는데, 쌍팔년도 강의식 수업을 해서는 기록할 내용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,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수업 활동을 고안할 수 밖에 없습니다.
또 한 가지 괴로운 점은, 알차게 기입한 학생부의 효용성에 의문이 든다는 점입니다. 1)자유학기 평가 내용은 고입에 반영되지 않고, 2)현재 대부분의 고입 전형에서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취급하지 않으며, 3) 과목세특이 기재된 학생부II의 보존연한은 5년으로, 그 이후에는 증발(...)되는 것이 현실입니다.
열심히 해도 표도 안나고 증거(?)도 남지 않는 것이 자유학기 수업인 것입니다...라고 생각하면 너무 결과 중심의 사고겠지요. 자유학기는 그 도입 취지에 맞게 과정중심으로 평가하고, 평가 내용이 피드백으로서 기능하여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 방향으로 가야합니다.
그래서 이번 학기에는 큰 마음을 먹고, 복사붙여넣기하여 쓰던 지난 자료를 버리고, 자유학기 계획서를 처음부터 한땀한땀(?) 새로 썼습니다. 좀 오바스러운 시도도 있지만, 몇가지는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야로중학교 2017년 자유학기 영어과 계획서 내려받기
※ 목차
1. 관련 및 시행 근거
2. 영어과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
3. 영어과 핵심역량
4. 영어과 핵심 성취기준
5. 단원별 주요 학습내용
6. 교수학습 방법
7. 교수요목(Syllabus)
8. 평가 방법 및 유의점
9. 세부 평가 계획 및 결과 기술 방법
. 참고 문헌
1. 관련 및 시행 근거
2. 영어과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
3. 영어과 핵심역량
4. 영어과 핵심 성취기준
5. 단원별 주요 학습내용
6. 교수학습 방법
7. 교수요목(Syllabus)
8. 평가 방법 및 유의점
9. 세부 평가 계획 및 결과 기술 방법
. 참고 문헌
☻
#영어 #자유학기 #교육과정 #수업 #활동 #디자인 #평가 #기술
댓글
댓글 쓰기